티스토리 뷰

목차



    상사들 중에는 세부적인 것에 과하다 싶을 정도로 집착하는 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마치 세부적인 것을 모르면 전체를 알 수 없고, 세부 사항이 하나 어긋나면 모든 일이 틀어질 것처럼 예민합니다. 이런 상사를 만나면 일 하나를 진행하는 것 자체가 고역입니다. 그런데 상사가 세부적인 사항에 집착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설명을 잘하시는 편인가요? 혹시 다른 사람들로부터 잘 못 알아듣겠으니 다시 한번 설명해달라는 말을 종종 듣나요? 설명을 잘하는 사람은 듣는 사람의 머릿속에 구체적인 이미지가 그려지게 합니다. 어떻게 하면 그럴 수 있을까요? 이미지를 생생하게 전달하려면 구성요소를 세부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구체적은 몸을 갖추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듣는 사람이 눈앞에 있는 것을 직접 보는 것처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표현한다고 합니다. 세부적이란 단어 역시 구체적이라는 단어와 비슷한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는데요. 그 뜻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면 세부적이란 단어는 구체적이란 단어와 의미와 쓰임이 조금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01 세부는 어떤 한자로 만들어진 단어인가요?

     

    세부(細部)는 가늘고 자세하다는 의미를 가진 세(細)와 부분이란 의미의 부(部)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가늘고 자세한 부분이라고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영어단어 중 흔히 'Detail'과 혼용하여 사용되기도 합니다. 회사에서는 'Detail'이란 단어가 오히려 더 자주 사용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참고로 Detail은 '완전히'란 의미를 가진 접두사 'de'와 자르다는 의미를 가진 'tail'이 합쳐진 단어입니다. 완전히 잘라내서 구성요소를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상태가 Detail의 뜻입니다.

     

     

    02 세부의 뜻은 무엇인가요?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세부는 글자 그대로 '자세한 부분'이란 뜻을 갖습니다. 영어단어 Detail과 비교해 보았을 때, 단어의 의미가 조금 불명확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큰 틀에서 보았을 땐 '세부'와 'Detail' 모두 아주 자세하게 들어야 보아 그 안의 구성요소를 모두 꼼꼼히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나뉜 것' 정도로 파악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3 세부적이란 어휘의 쓰임새

    뉴스에서 세부적이란 단어를 통해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내용은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100일에 맞춰 기업 실태 조사를 진행했는데 그 결과 대다수의 기업이 중대재해처벌법을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하였고 그에 따른 대응력 역시 미비하다는 게 주요 골자입니다. 특히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조치 여부를 묻는 질문에 63.8%가 조치사항 검토 중이라고 답했고, 조치했다고 대답한 기업은 20,6%에 그쳤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이런 문장이 나옵니다.

     

    조치했다고 응답한 기업들의 세부적 조치사항은 '안전문화 강화'가 81.0%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영진 안전경영 선포'(55,5%), '보호장비 확충'(53.5%), '전문기관 컨설팅'(43.3%) 순이었다. (아이뉴스24)

     

    위 기사를 보면 세부적 조치사항이란 표현을 사용하며 중대재해처벌법에 대응해 조치했다고 대답한 기업들의 실제 조치사항을 하나하나 열거하며 나열했습니다. 이렇듯 세부적이란 말은 그 안에 포함된 내용을 명시한다는 의미를 표현할 때 적절합니다.

     

     

    일반적인 보고서에서 세부적이란 어휘는 아래와 같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시 01 - 서비스 역량 향상 교육과정의 세부 운영방안 수립

     

    예시 02 - 소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세부 옵션 마련

     

    예시 03 - 프로젝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세부 고려요소

     

     

     

    신규사업 기획안을 보고하는 중에 마케팅 전략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한 임원이 타깃 고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라고 합니다. 타깃의 성별, 연령대, 가족 구성과 거주지역, 여가시간의 주요 취미 등 고객을 묘사할 수 있는 요소는 다양합니다. 타깃 고객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나눌수록 듣는 사람은 대상을 구체적으로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