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시방서란?

     

    시방서는 재료, 공사품질, 시공 등과 관련된 특기사항 등을 기록한 문서입니다.

     

    흔히 설계도서라고 하면 '설계도면', '구조계산서', '시방서' 등을 총괄하여 가리킵니다. 시방서는 설계도면에서는 표현하기 어려운 내용들을 문서로 별도 표기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른 말로는 사양서라고도 합니다. 

     

    시방서는 보통 사용재료의 재질이나 품질, 치수 등과 시공 방법, 요구되는 성능 및 외관 등이 규정됩니다. 정밀한 시공을 위해 도면과 함께 반드시 필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건물을 짓는다고 할 때, 도면만 있다면 시공하는 업체가 필요한 정보를 모두 확인할 수 없습니다. 공사에 필요한 정보를 도면에 모두 담기는 어렵기 때문이죠.

     

    (왼쪽) 도면 예시 / (오른쪽) 시방서 예시

     

     

    시방서의 종류

     

    시방서는 크게 표준시방서와 특기시방서로 나눌 수 있습니다.

     

    표준시방서는 건물이나 제품을 시공하는데 필요한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원칙(표준)을 규정한 문서로써 모든 공사의 표준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라 정부가 시설물 안정과 공사시행의 적정성, 품질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설물별로 정한 21개의 표준적인 시공기준이 있습니다. 

     

    특기시방서는 표준시방서에서 기술한 사항 외에 발주하고자 하는 공사 현정에서 필요로 하는 특이사항들을 설계자가 작성한 문서를 말합니다. 설계사무소마다의 전문적인 노하우가 담긴 문서로써 다른 말로 전문시방서라고도 합니다. 시공업체에서는 표준시방서에서 규정되지 않는 사항들을 확인하기 위해 특기시방서를 확인하고 따르게 됩니다.

     

    이외에 해당 공사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적인 시공방법이나 자재의 성능, 규격과 품질 등을 규정하기 위해 공사시방서를 별도로 작성합니다. 이때 공사시방서는 표준시방서와 특기시방서를 기본으로 작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