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우리나라 공공기관에서는 문서 작성에 한글을 사용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한글 프로그램의 사용 비중이 높습니다. MS워드를 사용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다 보니, 온라인에도 한글에 대한 정보는 많아도 MS워드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빈약합니다. 그래서 간혹 아주 간단한 문제가 생겨도 해결방법을 한참 동안 찾아봐야 하는 일이 생기죠.
문서작성을 하다보면 말머리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가 반드시 생깁니다. 특히 대제목이나 중제족, 소제족 앞에 '■', '○' 등 기호를 삽입하여 일반 내용과 형식을 구분합니다. 이런 기호를 흔히 '특수문자'라고 부릅니다.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많이 분들이 알고 계십니다.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한자 변환키'를 누르면 특수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 '○'는 한글 자음 'ㅁ+한자 변환키'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MS워드를 사용할 떄는 이 방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아무리 한글 자음을 입력하고 한자변환키를 눌러도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MS워드로 문서를 작성할 때, 많은 분들이 이 문제 때문에 스트레스 받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메모장이나 엑셀, 파워포인트 등 본인이 편한 프로그램일 열고 해당 프로그램에서 특수문자를 입력한 다음 워드로 Copy&Paste를 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직관적인 방법이지만, 매일 새로운 문서를 작성할 때마다 똑같은 일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사실 워드에서도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나름의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워드에서 특수문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방법 3가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뒤로 갈 수록 점점 더 쉬운 방법입니다. (개인적인 평가라 사용하시는 분들에 따라서는 평가가 다를 수도 있습니다.
방법 1. 기본 메뉴 이용
가장 첫번째 방법은 MS워드의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저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먼저 상단 메뉴바에서 '삽입' 탭을 선택하여 가장 우측에 위치한 '기호'를 선택합니다. 하단에 뜨는 확장 메뉴에서 '다른 기호'를 선택하면 다양한 특수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이 뜹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MS워드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메뉴라서 정확한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있다는 것만 알면 어떻게든 찾아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단점이라면, 마우스 클릭을 3번이나 해야 접근 가능하고, 일반적인 기호뿐 아니라 언어, 수학 기호 등 다양한 기호가 있기 때문에 원하는 특수문자를 찾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방법 2. 이모지 단축키 활용
두번째 방법은 이모지 단축키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모지 단축키는 'window키 + .(마침표)'입니다. MS워드에서 '한글 자음 + 한자변환키'는 인식이 안되지만, 이모지 단축키는 인식이 됩니다.
사용방법도 아주 간단합니다. 워드에서 문서를 작성하시다가 특수문자를 입력하고 싶은 자리에 'window키'와 '마침표키'를 같이 눌러주시면 이모지 팝업창이 뜹니다. 상단 메뉴 중에 우측에서 2번째에 위치한 '기호' 탭을 누르시면 다양한 특수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이 뜹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접근이 편리하다는 점입니다. 어디서든 'window키 + 마침표키'를 입력하면 창을 띄울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장점으로는 이 방법을 통해서는 '한글자음 + 한자변환키'에서는 없는 상당히 다양한 특수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런 종류의 화살표( ↦ ↪ ↬ ↺ ⇎ ⇢ )도 있고, 다양한 글머리 기호( ▮ ▪ ◉ )도 있습니다.
방법 3. 한글 자음 + 마우스 우클릭
마지막으로 세번째 방법은 기존에 사용하시던 '한글자음 + 한자변환키'와 같은 선택창을 불러오는 방법입니다. 아시는 분들이 많이 없으시지만, 워드에서도 '한글자음 + 한자변환키'를 통해 접근했던 특수문자의 대부분을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한글자음 'ㄱ'은 제외)
먼저 입력하려는 특수기호에 해당하는 자음을 눌러주세요. (예를들어 ■ 기호라면 'ㅁ') 그리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합니다. (한글단어와 붙어서 입력한 경우는 마우스로 자음을 선택한 후 오른쪽 클릭을 해주세요.) 그럼 아래와 같이 선택창이 뜹니다. 여기서 '더보기'(예시사진은 영어 버전이라 'More'로 표시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를 선택하시면 아주 익숙한 창이 뜰 겁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기존에 사용하던 '한글자음 + 한자단축키'와 동일한 선택창을 제공하기 때문에 익숙하다는 점입니다. 단점은 마우스 클릭을 2번은 해야 하기 때문에 '한글자음 + 한자단축키' 조합에 비해 조금 불편합니다.
사용하시는 분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선택지를 중요시 하신다면 2번째 방법('window키 + 마침표키')를 사용하시거나, 기존에 익숙한 특수기호를 선호하신다면 3번째 방법('한글자음 + 마우스 우클릭')을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